SpringBoot란?
Spring에서는 이러한 설정들을 자동화해주는 SpringBoot라는 프로젝트를 만들었다.
Spring에서 SpringBoot라는 프레임워크를 내놓기 시작하면서 SpringBoot의 AutoConfigure(자동 구성) 기능을 통해 많은 설정들이 자동화되기 시작하였다.
Quick하게 정리하는 Spring Boot 어노테이션
Annotation 이란?
Annotation(@)은 사전적 의미로는 주석이라는 뜻이다.
자바에서 Annotation은 코드 사이에 주석처럼 쓰이며 특별한 의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즉, 프로그램에게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해주는 메타데이터라고 볼 수 있다.
* meta data : 데이터를 위한 데이터
다음은 어노테이션의 용도를 나타낸 것이다.
컴파일러에게 코드 작성 문법 에러를 체크하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소프트웨어 개발 툴이 빌드나 배치시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실행시(런타임시)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기본적으로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 어노테이션을 정의한다.
- 클래스에 어노테이션을 배치한다.
- 코드가 실행되는 중에 Reflection을 이용하여 추가 정보를 획득하여 기능을 실시한다.
Reflection 이란?
Reflection이란 프로그램이 실행 중에 자신의 구조와 동작을 검사하고, 조사하고, 수정하는 것이다.
Reflection은 프로그래머가 데이터를 보여주고, 다른 포맷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통신을 위해 serialization(직렬화)를 수행하고, bundling을 하기 위해 일반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를 만들도록 도와준다.
Java와 같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Reflection을 사용하면 컴파일 타임에 인터페이스, 필드, 메소드의 이름을 알지 못해도 실행 중에 클래스, 인터페이스, 필드 및 메소드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객체의 인스턴스화 및 메소드 호출을 허용한다.
Java와 같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Reflection을 사용하여 멤버 접근 가능성 규칙을 무시할 수 있다.
[EX] reflection을 사용하면 서드 파티 라이브러리의 클래스에서 private 필드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Spring에서 BeanFactory라는 Container에서 객체가 호출되면 객체의 인스턴스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 때 필요하게 된다. 즉, 프레임워크에서 유연성있는 동작을 위해 쓰인다.
Annotation 자체는 아무런 동작을 가지지 않는 단순한 표식일 뿐이지만, Reflection을 이용하면 Annotation의 적용 여부와 엘리먼트 값을 읽고 처리할 수 있다.
Class에 적용된 Annotation 정보를 읽으려면 java.lang.Class를 이용하고
필드, 생성자, 메소드에 적용된 어노테이션 정보를 읽으려면 Class의 메소드를 통해 java.lang.reflect 패키지의 배열을 얻어야 한다.
Class.forName(), getName(), getModifier(), getFields() getPackage() 등등 여러 메소드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Reflection을 이용하면 Annotation 지정만으로도 원하는 클래스를 주입할 수 있다.
// Without reflection
Foo foo = new Foo();
foo.hello();
// With reflection
Object foo = Class.forName("complete.classpath.and.Foo").newInstance();
// Alternatively: Object foo = Foo.class.newInstance();
Method m = foo.getClass().getDeclaredMethod("hello", **new** Class<?>[0]);
m.invoke(foo);
Annotation 종류
@ComponentScan
@Component와 @Service, @Repository, @Controller, @Configuration이 붙은 클래스 Bean들을 찾아서 Context에 bean등록을 해주는 Annotation이다.
@Component Annotation이 있는 클래스에 대하여 bean 인스턴스를 생성
ApplicationContext.xml에 <bean id="jeongpro" class="jeongpro" /> 과 같이 xml에 bean을 직접등록하는 방법도 있고 위와 같이 Annotation을 붙여서 하는 방법도 있다.
base-package를 넣으면 해당 패키지 아래에 있는 컴포넌트들을 찾고 그 과정을 spring-context-버전(4.3.11.RELEASE).jar에서 처리한다.
Spring에서 @Component로 다 쓰지 않고 @Repository, @Service, @Controller등을 사용하는 이유는, 예를들어 @Repository는 DAO의 메소드에서 발생할 수 있는 unchecked exception들을 스프링의 DataAccessException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가독성에서도 해당 애노테이션을 갖는 클래스가 무엇을 하는지 단 번에 알 수 있다.
자동으로 등록되는 Bean의 이름은 클래스의 첫문자가 소문자로 바뀐 이름이 자동적용된다.
HomeController -> homeController
@Component**
@Component 은 개발자가 직접 작성한 Class를 Bean으로 등록하기 위한 Annotation이다.
1개의 class 단위로 bean으로 등록할 때 설정한다.
@Component
public class Student {
public Student() {
System.out.println("hi");
}
}
@Component(value="mystudent")
public class Student {
public Student() {
System.out.println("hi");
}
}
Component에 대한 추가 정보가 없다면 Class의 이름을 camelCase로 변경한 것이 Bean id로 사용된다.
하지만 @Bean과 다르게 @Component는 name이 아닌 value를 이용해 Bean의 이름을 지정한다.
@Bean***
@Bean은 개발자가 직접 제어가 불가능한 외부 라이브러리등을 Bean으로 만들려할 때 사용되는 Annotation이다.
1개의 외부 라이브러리로 부터 생성한 객체를 등록 시 사용 (new로 객체를 생성 후 직접 bean으로 등록할 때 사용)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licationConfig {
@Bean
public ArrayList<String> array(){
return new ArrayList<String>();
}
}
ArrayList같은 라이브러리등을 Bean으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해당 라이브러리 객체를 반환하는 Method를 만들고 @Bean Annotation을 사용하면 된다.
위의 경우 @Bean에 아무런 값을 지정하지 않았으므로 Method 이름을 camelCase로 변경한 것이 Bean id로 등록된다.
method 이름이 arrayList()인 경우 arrayList가 Bean id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licationConfig {
@Bean(name="myarray")
public ArrayList<String> array(){
return new ArrayList<String>();
}
}
위와 같이 @Bean에 name이라는 값을 이용하면 자신이 원하는 id로 Bean을 등록할 수 있다.
Configuration 클래스에서 외부라이브러리 관련 객체를 미리 객체화 시켜놓을 때 많이 사용한다.
@Autowired***
속성(field), setter method, constructor(생성자)에서 사용하며 Type에 따라 알아서 Bean을 주입 해준다.
무조건적인 객체에 대한 의존성을 주입시킨다.
이 Annotation을 사용할 시, 스프링이 자동적으로 값을 할당한다.
Controller 클래스에서 DAO나 Service에 관한 객체들을 주입 시킬 때 많이 사용한다.
즉, Dependency Injection를 위한 곳에 사용된다.
필드, 생성자, 입력 파라미터가 여러 개인 메소드(@Qualifier는 메소드의 파라미터)에 적용 가능하다.
Type을 먼저 확인한 후 못 찾으면 Name에 따라 주입한다.
Name으로 강제하는 방법: @Qualifier을 같이 명시
Bean을 주입받는 방식 (3가지)
- @Autowired
- setter
- 생성자 (@AllArgsConstructor 사용) -> 권장방식
@Inject
@Autowired 어노테이션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
@Controller
Spring의 Controller를 의미한다. Spring MVC에서 Controller클래스에 쓰인다.
@RestController***
Spring에서 Controller 중 View로 응답하지 않는, Controller를 의미한다.
method의 반환 결과를 JSON 형태로 반환한다.
이 Annotation이 적혀있는 Controller의 method는 HttpResponse로 바로 응답이 가능하다.
@ResponseBody 역할을 자동적으로 해주는 Annotation이다.
@Controller + @ResponseBody를 사용하면 @ResponseBody를 모든 메소드에서 적용한다.
@Controller 와 @RestController 의 차이
- @Controller
API와 view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대신 API 서비스로 사용하는 경우는 @ResponseBody를 사용하여 객체를 반환한다.
view(화면) return이 주목적이다. - @RestController
view가 필요없는 API만 지원하는 서비스에서 사용한다.
Spring 4.0.1부터 제공
@RequestMapping 메서드가 기본적으로 @ResponseBody 의미를 가정한다.
data(json, xml 등) return이 주목적이다.
즉, @RestController = @Controller + @ResponseBody 이다.
@Service***
Service Class에서 쓰인다.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는 Class라는 것을 나타내는 용도이다.
@Repository*
DAO class에서 쓰인다.
DataBase에 접근하는 method를 가지고 있는 Class에서 쓰인다.
@EnableAutoConfiguration
Spring Application Context를 만들 때 자동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켠다.
classpath의 내용에 기반해서 자동으로 생성해준다.
만약 tomcat-embed-core.jar가 존재하면 톰캣 서버가 setting된다.
@Configuration***
@Configuration을 클래스에 적용하고 @Bean을 해당 Class의 method에 적용하면 @Autowired로 Bean을 부를 수 있다.
1개 이상의 bean을 등록할 때 설정한다.
@Required
setter method에 적용해주면 Bean 생성시 필수 프로퍼티 임을 알린다.
Required Annotation을 사용하여 optional 하지 않은, 꼭 필요한 속성들을 정의한다.
영향을 받는 bean property를 구성할 시에는 XML 설정 파일에 반드시 property를 채워야 한다.
엄격한 체크, 그렇지 않으면 BeanInitializationException 예외를 발생
<!-- Definition for student bean -->
<bean id = "student" class = "com.tutorialspoint.Student">
<property name = "name" value = "Zara" />
<property name = "age" value = "11"/>
</bean>
@Qualifier("id123")
@Autowired와 같이 쓰이며, 같은 타입의 Bean 객체가 있을 때 해당 아이디를 적어 원하는 Bean이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Annotation이다.
같은 타입이 존재하는 경우 ex) 동물 = 원숭이, 닭, 개, 돼지
같은 타입의 Bean이 두 개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에 Spring이 어떤 Bean을 주입해야 할지 알 수 없어서 Spring Container를 초기화하는 과정에서 예외를 발생시킨다.
이 경우 @Qualifier을 @Autowired와 함께 사용하여 정확히 어떤 bean을 사용할지 지정하여 특정 의존 객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한다.
- 예시
xml 설정에서 bean의 한정자 값(qualifier value)을 설정한다.
@Autowired 어노테이션이 적용된 주입 대상에 @Qualifier 어노테이션을 설정한다.
@Resource*
@Autowired와 마찬가지로 Bean 객체를 주입해주는데 차이점은 Autowired는 타입으로, Resource는 이름으로 연결해준다.
Annotation 사용으로 인해 특정 Framework에 종속적인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지 않기 위해서는 @Resource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Autowired + @Qualifier의 개념이다.
@Resource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class path 내에 jsr250-api.jar 파일을 추가해야 한다.
필드, 입력 파라미터가 한 개인 bean property setter method에 적용 가능하다.
@PostConstruct, @PreConstruct
의존하는 객체를 생성한 이후 초기화 작업을 위해 객체 생성 전/후에(pre/post) 실행해야 할 method 앞에 붙인다.
@PreDestroy
객체를 제거하기 전(pre)에 해야할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한다.
@PropertySource
해당 프로퍼티 파일을 Environment로 로딩하게 해준다.
클래스에 @PropertySource("classpath:/settings.properties")라고 적고 클래스 내부에 @Resource를 Environment타입의 멤버 변수앞에 적으면 매핑된다.
@ConfigurationProperties
yaml파일 읽는다.
default로 classpath: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이 조회된다.
속성 클래스를 따로 만들어두고 그 위에 (prefix="mail")을 써서 프로퍼티의 접두사를 사용할 수 있다.
mail.host = mailserver@mail.com
mail.port = 9000
mail.defaultRecipients[0] = admin@mail.com
mail.defaultRecipients[1] = customer@mail.com
@Lazy
지연로딩을 지원한다.
@Component나 @Bean Annotation과 같이 쓰는데 Class가 로드될 때 스프링에서 바로 bean등록을 마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사용될 때 로딩이 이뤄지게 하는 방법이다.
@Value***
properties에서 값을 가져와 적용할 때 사용한다.
SPRING BOOT 사용 시, application.properties에 key/value 값으로 spring.가 prefix로 시작하는 설정들을 사용할 수 있으니, 간단하게 여기서 설정할 수 있는 것들은 properties에 등록.
@Value("${value.from.file}")
private String valueFromFile; 이라고 구성되어 있으면 value.from.file의 값을 가져와서 해당 변수에 주입해준다.
spEL을 이용해서 조금 더 고급스럽게 쓸 수 있다.
@Value(#{systemProperties['priority'] ?: 'some default'})
@SpringBootApplication*
@Configuration, @EnableAutoConfiguration, @ComponentScan 3가지를 하나의 애노테이션으로 합친 것이다.
@RequestMapping*
요청 URL을 어떤 method가 처리할지 mapping해주는 Annotation이다.
Controller나 Controller의 method에 적용한다.
요청을 받는 형식인 GET, POST, PATCH, PUT, DELETE 를 정의하기도 한다.
요청 받는 형식을 정의하지 않는다면, 자동적으로 GET으로 설정된다.
@RequestMapping("/list"), @RequestMapping("/home, /about");
@RequestMapping("/admin", method=RequestMethod.GET)
@Controller
// 1) Class Level
//모든 메서드에 적용되는 경우 “/home”로 들어오는 모든 요청에 대한 처리를 해당 클래스에서 한다는 것을 의미
@RequestMapping("/home")
public class HomeController {
/* an HTTP GET for /home */
@RequestMapping(method = RequestMethod.GET)
public String getAllEmployees(Model model) {
...
}
/*
2) Handler Level
요청 url에 대해 해당 메서드에서 처리해야 되는 경우
“/home/employees” POST 요청에 대한 처리를 addEmployee()에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value: 해당 url로 요청이 들어오면 이 메서드가 수행된다.
method: 요청 method를 명시한다. 없으면 모든 http method 형식에 대해 수행된다.
*/
/* an HTTP POST for /home/employees */
@RequestMapping(value = "/employees", method = RequestMethod.POST)
public String addEmployee(Employee employee) {
...
}
}
@RequestMapping에 대한 모든 매핑 정보는 Spring에서 제공하는 HandlerMapping Class가 가지고 있다.
@CookieValue
쿠키 값을 parameter로 전달 받을 수 있는 방법이다.
해당 쿠키가 존재하지 않으면 500 에러를 발생시킨다.
속성으로 required가 있는데 default는 true다.
false를 적용하면 해당 쿠키 값이 없을 때 null로 받고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 쿠키의 key가 auth에 해당하는 값을 가져옴
public String view(@CookieValue(value="auth")String auth){...};
@CrossOrigin
CORS 보안상의 문제로 브라우저에서 리소스를 현재 origin에서 다른 곳으로의 AJAX요청을 방지하는 것이다.
@RequestMapping이 있는 곳에 사용하면 해당 요청은 타 도메인에서 온 ajax요청을 처리해준다.
//기본 도메인이 http://jeong-pro.tistory.com 인 곳에서 온 ajax요청만 받아주겠다.
@CrossOrigin(origins = "http://jeong-pro.tistory.com", maxAge = 3600)
@ModelAttribute
view에서 전달해주는 parameter를 Class(VO/DTO)의 멤버 변수로 binding 해주는 Annotation이다.
binding 기준은 <input name="id" /> 처럼 어떤 태그의 name값이 해당 Class의 멤버 변수명과 일치해야하고 setmethod명도 일치해야한다.
class Person{
String id;
public void setId(String id){ this.id = id;}
public String getId(){ return this.id }
}
@Controller
@RequestMapping("/person/*")
public class PersonController{
@RequestMapping(value = "/info", method=RequestMethod.GET)
//view에서 myMEM으로 던져준 데이터에 담긴 id 변수를 Person타입의 person이라는 객체명으로 바인딩.
public void show(@ModelAttribute("myMEM") Person person, 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service.read(person.getId())); }
}
@GetMapping***
@RequestMapping(Method=RequestMethod.GET)과 같다.
@PostMapping***
@RequestMapping(Method=RequestMethod.POST)과 같다.
@PutMapping***
@RequestMapping(Method=RequestMethod.PUT)과 같다.
@PatchMapping***
@RequestMapping(Method=RequestMethod.PATCH)과 같다.
@DeleteMapping***
@RequestMapping(Method=RequestMethod.DELETE)과 같다.
@SessionAttributes
Session에 data를 넣을 때 쓰는 Annotation이다.
@SessionAttributes("name")이라고 하면 Model에 key값이 "name"으로 있는 값은 자동으로 세션에도 저장되게 한다.
@Valid***
유효성 검증이 필요한 객체임을 지정한다.
POJO Java Class 검증을 수행한다.
주로 Controller에서 @RequestBody와 주로 같이 사용되는 듯?
@InitBinder
@Valid 애노테이션으로 유효성 검증이 필요하다고 한 객체를 가져오기전에 수행해야할 method를 지정한다.
@RequestAttribute
Request에 설정되어 있는 속성 값을 가져올 수 있다.
@RequestBody***
요청이 온 데이터 Http Body(JSON이나 XML형식)를 바로 Class나 model로 매핑하기 위한 Annotation이다.
POST나 PUT, PATCH로 요청을 받을때에, 요청에서 넘어온 body 값들을 자바 타입으로 파싱해준다.
HTTP POST 요청에 대해 request body에 있는 request message에서 값을 얻어와 매핑한다.
RequestData를 바로 Model이나 클래스로 매핑한다.
이를테면 JSON 이나 XML같은 데이터를 적절한 messageConverter로 읽을 때 사용하거나 POJO 형태의 데이터 전체로 받는 경우에 사용한다.
@RequestMapping(value = "/book", method = RequestMethod.POST)
public ResponseEntity<?> someMethod(@RequestBody Book book) {
// we can use the variable named book which has Book model type.
try {
service.insertBook(book);
} catch(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return some response here
}
@RequestHeader***
Request의 header값을 가져올 수 있다. 메소드의 파라미터에 사용한다.
자동으로 HTTP 요청의 헤더 항목중에서 어노테이션이 명시한 value값에 해당하는 항목을 메소드의 파라미터 변수에 매핑해준다.
//ko-KR,ko;q=0.8,en-US;q=0.6
@RequestHeader(value="Accept-Language")String acceptLanguage 로 사용
@RequestParam**
@PathVariable과 비슷하다.
요청 URL Query Parameter에서 가져와 매핑해주는 것이다. method의 파라미터에 사용된다.
?moviename=thepurge 와 같은 쿼리 파라미터를 파싱해준다.
괄호 안에 입력 값을 따로 넣지 않으면, HTTP 요청 parameter 중에서 method의 파라미터명과 일치하는 값을 가져온다.
HTTP GET 요청에 대해 매칭되는 request parameter 값이 자동으로 들어간다.
url 뒤에 붙는 parameter 값을 가져올 때 사용한다.
http://localhost:8080/home?index=1&page=2
@GetMapping("/home")
public String show(@RequestParam("page") int pageNum {
}
위의 경우 GET /home?index=1&page=2와 같이 uri가 전달될 때 page parameter를 받아온다.
@RequestParam 어노테이션의 괄호 안의 문자열이 전달 인자 이름(실제 값을 표시)이다.
@RequestMapping(value = "/search/movie", method = RequestMethod.GET)
public ResponseEntity<?> someMethod(@RequestParam String moviename) {
// request URI would be like '/search/movie?moviename=thepurge'
try {
List<Movie> movies = service.searchByMoviename(moviename);
} catch(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return some response here
}
@RequestPart
Request로 온 MultipartFile을 바인딩해준다.
@RequestPart("file") MultipartFile file
@ResponseBody***
HttpMessageConverter를 이용하여 JSON 혹은 xml 로 요청에 응답할수 있게 해주는 Annotation이다.
view가 아닌 JSON 형식의 값을 응답할 때 사용하는 Annotation으로 문자열을 리턴하면 그 값을 http response header가 아닌 response body에 들어간다.
이미 RestController Annotation이 붙어 있다면, 쓸 필요가 없다.
허나 그렇지 않은 단순 컨트롤러라면, HttpResponse로 응답 할 수 있게 해준다.
만약 객체를 return하는 경우 JACKSON 라이브러리에 의해 문자열로 변환되어 전송된다.
context에 설정된 viewResolver를 무시한다고 보면된다.
@PathVariable***
method parameter 앞에 사용하면서 해당 URL에서 {특정값}을 변수로 받아 올 수 있다.
괄호 안에 입력 값을 따로 넣지 않으면, HTTP 요청 path 변수 중에서 method의 파라미터명과 일치하는 값을 가져온다.
URL에서 /some/path/{id}
@RequestMapping(value = "/some/path/{id}", method = RequestMethod.GET)
public ResponseEntity<?> someMethod(@PathVariable int id) {
}
HTTP 요청에 대해 매핑되는 request parameter 값이 자동으로 Binding 된다.
uri에서 각 구분자에 들어오는 값을 처리해야 할 때 사용한다.
REST API에서 값을 호출할 때 주로 많이 사용한다.
http://localhost:8080/index/1
@PostMapping("/index/{idx}")
@ResponseBody
public boolean deletePost(@PathVariable("idx") int postNum) {
return postService.deletePost(postNum);
}
@RequestParam와 @PathVariable 동시 사용 예제
@GetMapping("/user/{userId}/invoices")
public List<Invoice> listUsersInvoices(@PathVariable("userId") int user,
@RequestParam(value = "date", required = false) Date dateOrNull) {
}
위의 경우 GET /user/{userId}/invoices?date=190101 와 같이 uri가 전달될 때
구분자 {userId}는 @PathVariable(“userId”)로,
뒤에 이어붙은 parameter는 @RequestParam(“date”)로 받아온다.
@ExceptionHandler(ExceptionClassName.class)***
해당하는 예외클래스 형식의 예외가 발생했을 경우, 예외를 캐치하여 처리한다.
method 상단에 추가한다.
각 Service, Controller, Component 등을 작성하다가 throw new [CustomBusinessException]("~") 등으로 작성해주면, 해당 method가 실행된다.
@ControllerAdvice 어노테이션이 붙은 class 내에서 사용된다.
@ControllerAdvice
Class 위에 ControllerAdvice를 붙이고 어떤 예외를 잡아낼 것인지는 각 메소드 상단에 @ExceptionHandler(예외클래스명.class)를 붙여서 기술한다.
@RestControllerAdvice*
@ControllerAdvice + @ResponseBody다.
Service, Controller, Component 등에서 @ExceptionHandler(A.class) 처럼 A.class 예외가 throw되면, API 결과로 에러(ResponseBody 형식으로 반환)를 던진다.
@ResponseStatus
사용자에게 원하는 response code와 reason을 return해주는 Annotation이다.
@ResponseStatus(value = HttpStatus.NOT_FOUND, reason = "my page URL changed..") => 예외처리 함수 앞에 사용한다.
@EnableEurekaServer
Eureka 서버로 만들어준다.
@EnableDiscoveryClient
Eureka 서버에서 관리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임을 알려주기위한 Annotation이다.
@Transactional***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을 설정하고 싶은 method에 Annotation을 적용하면 method 내부에서 일어나는 데이터베이스 로직이 전부 성공하게되거나 데이터베이스 접근중 하나라도 실패하면 다시 롤백할 수 있게 해주는 Annotation이다.
class에 Annotation을 적용하면, class 내 모든 method에 해당 기능이 적용될 듯?
@Transaction(readOnly=true, rollbackFor=Exception.class)에서 readOnly는 읽기전용임을 알리고 rollbackFor는 해당 Exception이 생기면 롤백하라는 뜻이다.
@Transaction(noRollbackFor=Exception.class)는 해당 Exception이 나타나도 롤백하지 말라는 뜻이다.
@Transaction(timeout = 10)은 10초안에 해당 로직을 수행하지 못하면 롤백하라는 뜻이다.
메소드 내에서 Exception이 발생하면 해당 메소드에서 이루어진 모든 DB 작업을 초기화한다.
save 메소드를 통해서 10개를 등록해야 하는데 5번째에서 Exception이 발생하면 앞에 저장된 4개 까지 모두 롤백
정확히 얘기하면, 이미 넣은걸 롤백시키는건 아니며, 모든 처리가 정상적으로 됐을때만 DB에 커밋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엔 커밋하지 않는 것이다.
비지니스 로직과 트랜잭션 관리는 대부분 Service에서 관리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DB 데이터를 등록/수정/삭제 하는 Service 메소드는 @Transactional를 필수적으로 가져간다.
@Cacheable
method 앞에 지정하면 해당 method를 최초에 호출하면 캐시에 적재하고 다음부터는 동일한 method 호출이 있을 때 캐시에서 결과를 가져와서 return하므로 method 호출 횟수를 줄여주는 Annotation이다.
주의할 점은 입력이 같으면 항상 출력이 같은 method(=순수 함수)에 적용해야한다.
그런데 또 항상 같은 값만 뱉어주는 메서드에 적용하려면 조금 아쉬울 수 있다.
따라서 메서드 호출에 사용되는 자원이 많고 자주 변경되지 않을 때 사용하고 나중에 수정되면 캐시를 없애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Cacheable(value="cacheKey"), @Cacheable(key="cacheKey")
@CachePut
캐시를 업데이트하기 위해서 method를 항상 실행하게 강제하는 Annotation 이다.
해당 Annotation이 있으면 method 호출을 항상한다. 그러므로 @Cacheable과 상충되어 같이 사용하면 안된다.
@CacheEvict
캐시에서 데이터를 제거하는 트리거로 동작하는 method에 붙이는 Annotation이다.
캐시된 데이터는 언제가는 지워져야한다. 그러지 않으면 결과값이 변경이 일어났는데도 기존의 데이터(캐시된 데이터)를 불러와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물론 캐시 설정에서 캐시 만료시간을 줄 수도 있다.
@CacheEvict(value="cacheKey"), @CacheEvict(value="cacheKey", allEntries=true)
allEntries는 전체 캐시를 지울지 여부를 선택하는 것이다.
@CacheConfig
클래스 레벨에서 공통의 캐시설정을 공유하는 기능이다.
@Scheduled
Linux의 crontab처럼 정해진 시간에 실행해야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Scheduled(cron = "0 0 07 * * ?")
"초 분 시 일 월 요일 년(선택)에 해당 메서드 호출
@EnableWebMvc*
어노테이션 기반의 SpringMvc를 구성할 때 필요한 Bean 설정들을 자동으로 해주는 어노테이션(설정 자동화)이다.
기본적으로 등록해주는 Bean들 이외에 추가적으로 개발자가 필요로하는 Bean들을 등록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보통 WebMvcConfigurer 클래스를 상속받는 @Configuration 클래스에 주로 함께 추가한다.
Boot를 사용하는데 @Configuration과 @EnableWebMvc를 사용하면 Boot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MVC설정을 하지 않고
Spring Mvc에서 제공하는 기본설정만 사용하게 됨
스프링에서는 @Enable로 적용되는 인프라 빈에 대해 추가적인 설정을 할 수 있도록 ~Configurer로 끝나는 인터페이스(빈 설정자)를 제공하고 있다.(@Override로 추가 설정)
과거에 Java의 인터페이스가 default 메소드를 제공하지 않을 때는 인터페이스인 WebMvcConfigurer를 구현하기 위해 모든 메소드를 오버라이딩해주어야 했다.
그래서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고 필요한 메소드만을 오버라이딩하도록 WebMvcConfigurerAdpater라는 클래스를 제공하여 상속하도록 하였는데, 인터페이스에 default 메소드를 제공하면서 Deprecated되었다.
@SpringBootApplication 어노테이션 내부의 @EnableAutoConfiguration이 자동으로 @EnableWebMvc을 적용시켜준다.
Lombok Annotation
Lombok 이란?
- Java 라이브러리로 반복되는 getter, setter, toString, 생성자정의 .. 등의 반복 메서드 작성 코드를 줄여주는 코드 다이어트 라이브러리이다.
- 여러가지 @어노테이션을 제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반복 소스코드를 컴파일 과정에서 생성해주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라이브러리이다.
@NoArgsConstructor***
기본생성자를 자동으로 추가한다.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기본생성자의 접근 권한을 protected로 제한한다.
생성자로 protected Posts() {}와 같은 효과
Entity Class를 프로젝트 코드상에서 기본생성자로 생성하는 것은 금지하고, JPA에서 Entity 클래스를 생성하는것은 허용하기 위해 추가한다.
Model에 해당하는 DTO 객체 내에서 주로 사용된다.
주로 dto class 상단에 추가한다.
@AllArgsConstructor***
모든 필드 값을 파라미터로 받는 생성자를 추가한다.
주로 dto class 상단에 추가한다.
@RequiredArgsConstructor***
final이나 @NonNull인 필드 값만 파라미터로 받는 생성자를 추가한다.
final: 값이 할당되면 더 이상 변경할 수 없다.
주로 생성자 정의가 필요한 Controller, Component, Service 클래스의 대부분의 상단에 추가한다.
@Getter
Class 내 모든 필드의 Getter method를 자동 생성한다.
주로 dto? class 상단에 추가한다.
@Setter
Class 내 모든 필드의 Setter method를 자동 생성한다.
Controller에서 @RequestBody로 외부에서 데이터를 받는 경우엔 기본생성자 + set method를 통해서만 값이 할당된다.
그래서 이때만 setter를 허용한다.
Entity Class에는 Setter를 설정하면 안된다.
차라리 DTO 클래스를 생성해서 DTO 타입으로 받도록 하자
@ToString
Class 내 모든 필드의 toString method를 자동 생성한다.
@ToString(exclude = "password")
특정 필드를 toString() 결과에서 제외한다.
클래스명(필드1이름=필드1값, 필드2이름=필드2값, …) 식으로 출력된다.
@EqualsAndHashCode
equals와 hashCode method를 오버라이딩 해주는 Annotation이다.
@EqualsAndHashCode(callSuper = true)
callSuper 속성을 통해 equals와 hashCode 메소드 자동 생성 시 부모 클래스의 필드까지 감안할지 안 할지에 대해서 설정할 수 있다.
즉, callSuper = true로 설정하면 부모 클래스 필드 값들도 동일한지 체크하며, callSuper = false로 설정(기본값)하면 자신 클래스의 필드 값들만 고려한다.
클래스 비교를 위해 같음의 기준을 설정해주는 어노테이션이다.
@Builder***
어느 필드에 어떤 값을 채워야 할지 명확하게 정하여 생성 시점에 값을 채워준다.
주로 dto class 상단에 추가한다.
Constructor와 Builder의 차이
생성 시점에 값을 채워주는 역할은 똑같다.
하지만 Builder를 사용하면 어느 필드에 어떤 값을 채워야 할지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해당 Class의 Builder 패턴 Class를 생성 후 생성자 상단에 선언 시 생성자에 포함된 필드만 빌더에 포함된다.
@Data***
@Getter @Setter @EqualsAndHashCode @AllArgsConstructor을 포함한 Lombok에서 제공하는 필드와 관련된 모든 코드를 생성한다.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다.
전체적인 모든 기능 허용으로 위험 존재
주로 dto class 상단에 추가한다.
import lombok.*;
@Getter
@Setter
@ToString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public class BoardCategoryLombok {
private String category_id;
private int seq;
}
import lombok.*;
@Data
public class BoardCategoryLombok {
private String category_id;
private int seq;
}
@UtilityClass***
유틸리티성 클래스는 인스턴스를 만들 필요가 없기 때문에 static 메서드와 상수만 가지게 된다.
lombok에서 `@UtilityClass`는 어노테이션을 붙힌 클래스 내에 모든 메서드를 static으로, 필드를 상수로 만든다.
그리고 생성자를 private 으로 변경해 인스턴스화를 막는다.
해당 어노테이션과 함께 선언된 Util 클래스는 타 클래스에서 ...Util.메소드() 등으로 사용 가능하다.
@Slf4j*
해당 어노테이션이 정의된 클래스는 Logger 객체 생성 없이 바로 log.debug()로 로그를 찍어볼 수 있다.
해당 어노테이션이 없을 경우, 아래와 같이 Logger 초기화 코드를 클래스마다 작성해야, Logger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private static final org.slf4j.Logger log = org.slf4j.LoggerFactory.getLogger(App.class);
Swagger Annotation
Swagger란?
- Swagger(스웨거)는 개발자가 REST API 서비스를 설계, 빌드, 문서화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이다.
- 다른 개발팀과 협업을 진행하거나 이미 구축되어있는 프로젝트에 대한 유지보수를 진행할 경우그리고
백엔드의 API를 호출하는 프론트엔드 프로그램을 제작할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수있다. - 스웨거의 장점으로 적용하기 쉽고 api를 테스트할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
- 단점으로는 어노테이션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설정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Swagger API 정보 설정하기
- Configuration 클래스 내 하기 정보를 정의한다.
- api 정보 설정
private ApiInfo apiInfo() {
return new ApiInfoBuilder()
.title("FMS APIs")
.description("FMS APIs입니다.")
.version("1.0")
.build();
}
- Spring Security 설정
private ApiKey apiKey() {
return new ApiKey(HttpHeaderConstants.X_SESSION_ID, HttpHeaderConstants.X_SESSION_ID, "header");
}
private SecurityContext securityContext() {
return SecurityContext.builder().securityReferences(defaultAuth()).build();
}
List<SecurityReference> defaultAuth() {
AuthorizationScope authorizationScope = new AuthorizationScope("global", "accessEverything");
AuthorizationScope[] authorizationScopes = new AuthorizationScope[1];
authorizationScopes[0] = authorizationScope;
return Arrays.asList(new SecurityReference(HttpHeaderConstants.X_SESSION_ID, authorizationScopes));
}
- Swagger 문서 api 설정
@Bean
public Docket api() {
return new Docket(DocumentationType.OAS_30)
.useDefaultResponseMessages(false) // 기본 응답 메시지 설정
.select()
.apis(RequestHandlerSelectors.basePackage("com.vms.be.controller")) // swagger 적용할 패키지 설정
.paths(PathSelectors.any()).build() //swagger 적용할 주소 패턴 세팅
.apiInfo(apiInfo()) // 앞서 설정한 api 정보 세팅
.securitySchemes(Arrays.asList(apiKey())) // 앞서 설정한 보안 설정
.securityContexts(Arrays.asList(securityContext())) // 앞서 설정한 보안 설정
.useDefaultResponseMessages(false);
...
@Tag***
Swagger에서 API의 그룹을 설정하기 위한 어노테이션이다.
- name* : 태그의 이름
- desciption* : 태그의 설명
주로 Controller 클래스 상단에 선언된다.
@Operation***
Swagger에 API 상세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어노테이션이다.
- summary*: api에 대한 간략 설명(UI가 fold 상태일 떄도 확인할 수 있는)
- description* : api에 대한 상세 설명(UI가 fold 상태 아닐 때, 설명)
- response : api response 리스트
- parameters : api parameter 리스트
- tags* : API 그룹 태그명
주로 Tag 어노테이션이 선언된 Controller 클래스 내 메소드에 선언된다.
@Parameter***
Swagger에서 API에서 전달받는 Parameter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어노테이션이다.
- name* : 파라미터명
- description* : 파라미터 설명
- example* : 예시값
- in : 파라미터 위치 [ParameterIn.PATH, ParameterIn.HEADER, ParameterIn.QUERY, ParameterIn.COOKIE]
주로 Tag 어노테이션이 선언된 Controller 클래스 내 메소드 내 파라미터 변수 앞에 선언되며, 다른 기존 어노테이션과 함께 사용된다.(ex.PathVariable)
@PathVariable 설정 앞에 @Parameter 애너테이션 설정을 추가했는데, 메서드의 인자앞에 직접 설정할 경우에는 name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ApiResponse
Swagger에서 API에서 응답하는 Response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어노테이션이다.
- responseCode : http 상태코드
- description : response에 대한 설명
- content : Response payload 구조
- schema : payload에서 이용하는 Schema
- hidden : Schema 숨김여부
- implementation : Schema 대상 클래스
- schema : payload에서 이용하는 Schema
@ApiResponse 는 응답 결과에 따른 response 구조를 미리 확인할 수 있게 해줍니다.
주로 Tag 어노테이션이 선언된 Controller 클래스 내 메소드에 선언된다.
해당 Api Response를 정의하지 않아도, 대략적으로는 확인 가능하다??
@Schema***
Swagger에서 Model(=Schema)에 대한 정보를 작성 및 설정하기 위한 어노테이션이다.
- description* : 모델에 대한 설명
- defaultValue : 기본값
- allowableValues : {"1", "2", "3"} 허용가능한 값
dto 클래스에 @Schema를 적용해주면, 기존 Validation 체크 어노테이션 정보도 Swagger 문서에 업데이트 된다.
주로 dto 클래스 상단에 거의 필수로 선언된다.
개별 dto 멤버변수에도 선언하여, 기본값 및 허용 가능한 값, 컬럼에 대한 한글 설명을 넣어줄 수 있다..
Schema를 설정하지 않은 dto 모델의 경우, 각 필드값에 대한 설명이나, 기본값, 허용가능한 값 등에 대한 정보 없이 타입만 표시된다.
@ApiModelProperty***
v3 이전에 지원하던 문법으로써, 현재는 @Schema로 멤버변수에 설정할 수 있는 듯하다.
- hidden(T/F)
- required(T/F)
- value
- example
주로 dto 클래스 내 멤버변수에 선언된다.
Java Bean Validation Annotation
Bean Validation 2.0에는 검증과 관련된 어노테이션이 추가되었다.
주로 dto 클래스 내에서 각 맴버변수에 선언되며, 추후. Controller에서 method의 인자에 @Valid 어노테이션을 붙여줌으로써, 검증을 적용할 수 있다 (Request로 넘어오는 Request Body 값의 유효성을 손쉽게 검증할 수 있다.)
@NotBlank***
null이 아니고 최소한 한 개 이상의 공백아닌 문자를 포함하는지 검사하는 검증 기능을 추가한다.
@Null
@NotNull***
값이 null인지 또는 null이 아닌지 검사하는 검증 기능을 추가한다.
@NotEmpty
문자열나 배열의 경우 null이 아니고 길이가 0이 아닌지 검사한다.
콜렉션의 경우 null이 아니고 크기가 0이 아닌지 검사한다.
@AssertTrue
@AssertFalse
값이 true인지 또는 false인지 검사하는 검증 기능을 추가한다. null은 유효하다고 판단한다.
@Pattern(정규식)
값이 정규표현식에 일치하는지 검사한다.
null은 유효하다고 판단한다.
@Email (2)
이메일 주소가 유효한지 검사한다.
null은 유효하다고 판단한다.
@Max(value=최대값)
@Min(value=최소값)
지정한 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또는 크거나 같은지 검사한다.
null은 유효하다고 판단한다.
@Digits(integer=허용정수자리수, fraction=허용소수점자리수)
자릿수가 지정한 크기를 넘지 않는지 검사한다.
null은 유효하다고 판단한다.
@Positive (2)
@PositiveOrZero (2)
@Negative (2)
@NegativeOrZero (2)
양수인지 음수인지 검사한다.
OrZero가 붙은 것은 0 또는 양수인지 검사한다.
null은 유효하다고 판단한다.
@Future (2)
@FutureOrPresent (2)
@Past (2)
@PastOrPresent (2)
해당 시간이 미래 시간 or 과거 시간인지 검사한다.
OrPresent가 붙은 것은 현재 또는 과거 시간인지 검사한다.
null은 유효하다고 판단한다.
JPA Annotation
JPA란?
- JPA를 사용하면 DB 데이터에 작업할 경우 실제 쿼리를 사용하지 않고 Entity 클래스의 수정을 통해 작업한다.
- Java 진영에서 ORM(Object-Relational Mapping) 기술 표준으로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모음(Java Persistence API)이다.
- 자바 어플리케이션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방식을 정의한 인터페이스이다.
- SQL아닌 객체 중심으로 개발할 수 있다
@Entity
실제 DB의 테이블과 매칭될 Class임을 명시한다.
즉, 테이블과 링크될 클래스임을 나타낸다.
Entity Class
가장 Core한 클래스로 클래스 이름을 언더스코어 네이밍(_)으로 테이블 이름을 매칭한다.
SalesManage스.java -> sales_manager table
Controller에서 쓸 DTO 클래스란??
Request와 Response용 DTO는 View를 위한 클래스로, 자주 변경이 필요한 클래스이다.
Entity 클래스와 DTO 클래스를 분리하는 이유는 View Layer와 DB Layer를 철저하게 역할 분리하기 위해서다.
테이블과 매핑되는 Entity 클래스가 변경되면 여러 클래스에 영향을 끼치게 되는 반면 View와 통신하는 DTO 클래스(Request/ Response 클래스)는 자주 변경되므로 분리해야 한다.
@Table
Entity Class에 매핑할 테이블 정보를 알려준다.
@Table(name = "USER")
Annotation을 생략하면 Class 이름을 테이블 이름 정보로 매핑한다.
테이블 정보를 별도로 제공하고 싶을 때만, Entity class 상단에 명시한다.
@Id
해당 테이블의 PK 필드를 나타낸다.
@GeneratedValue
PK의 생성 규칙을 나타낸다.
가능한 Entity의 PK는 Long 타입의 Auto_increment를 추천
스프링 부트 2.0에선 옵션을 추가하셔야만 auto_increment가 된다.
기본값은 AUTO로, MySQL의 auto_increment와 같이 자동 증가하는 정수형 값이 된다.
@Column
테이블의 컬럼을 나타내며, 굳이 선언하지 않더라도 해당 Class의 필드는 모두 컬럼이 된다.
@Column을 생략하면 필드명을 사용해서 컬럼명과 매핑
@Column(name = "username")
@Column을 사용하는 이유는, 기본값 외에 추가로 변경이 필요한 옵션이 있을 경우 사용한다.
문자열의 경우 VARCHAR(255)가 기본값인데, 사이즈를 500으로 늘리고 싶거나(ex: title),
타입을 TEXT로 변경하고 싶거나(ex: content) 등의 경우에 사용
Feign Annotation
Feign 이란?
- Netflix 에서 개발된 Http client binder 로써, 선언적 방식으로 Rest 기반 호출을 추상화해서 제공한다.
- interface와 annotaion만으로 간단하게 HTTP API 클라이언트를 구현할 수 있으며, 세부적인 내용 없이 사용할 수 있어 코드 복잡도가 낮아진다
- Feign 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interface 를 작성하고 annotation 을 선언 하기만 하면됩니다.
- 마치 Spring Data JPA 에서 실제 쿼리를 작성하지 않고 Interface 만 지정하여 쿼리실행 구현체를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것과 유사하다.
- RestTemplate 을 만들어 보셨던 분들은 많은 코드의 축소를 느낄 수 있다.
- Feign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하기 의존성 주입이 필요하다.
ext {
...
// https://spring.io/projects/spring-cloud 의 Release Trains 부분을 참조
springCloudVersion = 'Finchley.RELEASE'
...
}
dependencyManagement {
imports {
mavenBom "org.springframework.cloud"
}
}
dependencies {
compile("org.springframework.cloud:spring-cloud-starter-openfeign")
}
- root package(Application.java) 상에 @EnableFeignClients 어노테이션을 추가한다.
- 이 어노테이션은 하위 클래스를 탐색하면서 @FeignClient를 찾아 구현체를 생성한다.
- 만약 root package가 아니라면 basePackages 또는 basePackageClasses 속성을 이용해 커스터마이징해야한다.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SpringBoot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cloud.openfeign.EnableFeignClients;
@SpringBootApplication
@EnableFeignClients // 선언
public class FmsBe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FmsBeApplication.class, args);
}
}
- 다음으로 @FeignClient를 생성한다.
- 인터페이스로 작성하며, 클래스를 구체화할 필요 없이 어노테이션만 추가한다.
- name 어노테이션 속성은 FeignClient의 서비스명을 입력한다.
- url 어노테이션 속성은 요청할 URL을 입력한다.
-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 속성은 기본 제공설정 이외에, Feign이 제공하는 문법에 따라 작성한 커스터마이징한 설정 정보를 설정해 줄 수 있다.(Header를 추가해주는 등)
- 추가적인 속성 값으로는fallback 등이 있다.
@FeignClient(name = "google", url = "${api.google.url}", configuration = { FeignSSLConfig.class }) // 선언
public interface GoogleClient {
@PostMapping(value = "${api.google.validation}/{customerId}/googleAds:searchStream", consumes = MediaType.APPLICATION_JSON_VALUE)
void validateApi(@PathVariable("customerId") String customerId,
@RequestHeader(HttpHeaderConstants.DEVELOPER_TOKEN) String developerToken,
@RequestHeader(HttpHeaderConstants.LOGIN_MEMBER_ID) String loginCustomerId,
@RequestHeader(HttpHeaderConstants.AUTHORIZATION) String accessToken,
@RequestBody String query);
}
- 커스터마이징한 설정이 필요할 경우, 별도의 커스터마이징한 파일을 생성한다.
- 관련 feignClient 요청과 관련된 모든 REST API call에 자동으로 ssl 설정을 해주는 설정 파일 예시
public class FeignSSLConfig {
@Bean
public Client feignClient() throws Exception {
return new Client.Default(sslContextFactory(), (host, session) -> true);
}
private SSLSocketFactory sslContextFactory() throws Exception {
SSLContext sslContext = SSLContext.getInstance("TLS");
Configuration 사용 시 주의사항
- Configuration class를 생성하다보면 습관적으로 @Configuration으로 설정하기 쉽다.
- 하지만 @Configuration으로 설정하게되면 되면 Spring bean으로 등록되어 모든 feign client 대상으로 적용이 된다.
- 따라서 모든 feign client에 적용되어야하는 설정은 @Configuration으로 적용되게 하고,client 별로 적용되어야 하는 설정은 @FeignClient의 configuration attribute에 명시해서 추가해야한다.
- 참고로 같은 설정에 대해서는 @FeignClient의 configuration attribute의 설정으로 덮어씌워진다.
@EnableFeignClients
Feign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어노테이션으로써, root 패키지에 선언하여 사용한다.
@FeignClient 어노테이션을 찾아, 구현체를 생성해 준다.
@FeingClient
Feign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어노테이션으로써,
해당 어노테이션이 제공하는 속성값에 따라 손쉽게 HTTP API Client를 만들어준다.
AOP Annotation
AOP란?
- Aspect Oriented Programming의 약자로, 번역하면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이다.
- AOP는 주 비지니스 로직 앞, 뒤로 부가적인 기능을 추가하고 싶을때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로그처리, 보안처리, DB 트랜잭션 처리 등이 있다.
- 관점을 횡단으로 바꿔서 바라보는 것을 횡단 관심 사항이라 하며,
- 부가적인 로직을 Cross Cutting Concern, 주 비즈니스 로직을 Core Concern 이라 한다.
- 코드의 중복을 줄일 수 있고, 주 업무 로직과 부가적인 로직을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Aop를 Spring boot에서 구현하려면, 하기 의존성 추가가 필요하다.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aop'
}
- 공통기능을 정의하고, 공통기능이 사용될 시점을 정의한다.
JoinPoint 객체란?
AOP가 적용된 함수에 관하여, 들어가는 지점에 대한 객체를 가진 메소드를 의미한다.
@Aspect*
AOP를 정의하는 클래스에 할당해준다.
@Aspect를 사용하면 당연히 @Component를 같이 사용한다.
- Component와 bean의 차이점 : @Bean은 클래스에 사용할 수 없고, 메소드에 사용한다.
@Before*
메소드 실행하기 이전에 실행할 함수에 지정해준다.
인자로, 해당 AOP를 적용할 파일 경로나, 메소드명을 여러개 넣어줄 수 있다.
@After
메소드 실행하기 이후에 실행할 함수에 지정해준다.(예외가 발생하더라도)
인자로, 해당 AOP를 적용할 파일 경로나, 메소드명을 여러개 넣어줄 수 있다.(execution(... 형식))
@Around
메소드 실행하기 이전이후에 실행할 함수에 지정해준다.(예외가 발생하더라도)
인자로, 해당 AOP를 적용할 파일 경로나, 메소드명을 여러개 넣어줄 수 있다.(execution(... 형식))
@Pointcut
AOP를 적용시킬 지점 설정해주는 함수에 지정해준다.
인자로, 해당 AOP를 적용할 파일 경로나, 메소드명을 여러개 넣어줄 수 있다.
@AfterReturning*
메소드 호출 성공 실행 시 실행할 함수에 지정해준다.
@AfterThrowing*
메소드 호출 실패 예외 발생 시 실행할 함수에 지정해준다.
'[DEV] App Dev ∕ Web Back > Framework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 & React] 샘플 문항 (0) | 2023.07.10 |
---|---|
[Spring Boot & React] 샘플 문항 2 (0) | 2023.05.24 |
[Spring Boot] 개발 참고자료 목록 (0) | 2022.06.08 |
[Spring Boot] 기본 개발환경설정 (0) | 2022.05.26 |
Spring Framework란? (0) | 2020.08.14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