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DLC 방법론이란?

AI Context 문서를 잘 정리해나가면서, System Prompt 삼아 개발해 나가는 기법을 의미한다.

프로젝트의 기획부터 배포까지 LLM을 통해, 일관적으로 잘 관리해내기 위한 방법론이다.

컨셉은 프로젝트의 기획(분석 * 설계) 부터 개발, 배포의 모든 단계를 LLM을 통해 수행하되, 

의도를 Unit 단계로 쪼개고, Integration Contract 문서를 통해 통신하여 개별 Unit 구현에 집중하기 때문에, MSA 아키텍처를 선호한다.

AIDLC의 핵심은?

1. 프로젝트 진행을 크게 3단계로 나누어서 수행하는데, Inception 단계 -> Construction 단계 -> Opertaion 단계이다.

2. 핵심은 Markdown으로 정의된 개별 Context 문서를 계속 Project 폴더 안에서 정리해나가면서, LLM에 계속 Context를 제공해야 한다는 점이다.

3. 개별 Construction과 함께 Integration Contract Markdown 문서를 통해 서로 연동도 챙겨나가는 방식이다.

4. 초기 Inception 단계에서, User Stories를 만드는데 필요한 내용은 RFP 문서가 될 수 있겠다.

AIDLC의 리스크는?

1. 너무 잘게 나눠서, 초기 Inception 단계에 에너지를 너무 많이 뺏길 수 있고 사람별로 하나의 모듈만 맡겨질 리스크가 존재함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